본문 바로가기

끝없는 공부

칼럼쓰기6. [경향신문/사회칼럼] 검색의 시대 경향신문 [여적] 검색의 시대(2015.03.29) 김석종 논설위원 칼럼원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90201&artid=201503292037545 1997년 체스 세계챔피언 카스파로프와 IBM 컴퓨터 ‘딥 블루’가 체스 대결을 벌였다. 결과는 딥 블루의 승리였다. 2011년 미국 ABC TV 퀴즈쇼 에서 IBM 컴퓨터 ‘왓슨’이 인간 퀴즈챔피언을 이겼다. 체스나 퀴즈처럼 사고와 판단력이 중요한 영역에서도 컴퓨터가 사람을 압도하게 된 것이다. 검색 만능 시대다. 생각하고 사유하지 않아도 되는 세상이다. 무엇이든 인터넷 검색 포털에 물어보면 즉시 답이 나온다. 컴퓨터와 스마트폰만 있으면 이 세상 모든 지식과 정보를 다 가르쳐.. 더보기
IT칼럼니스트를 꿈꾸다. 학창시절 나는 소설을 좋아했다. 사건이 만들어내는 적당한 긴장감이 좋았다. 주변에서 독서를 강조했다. , 과 같은 순정만화에 빠져있던 코흘리개 시절을 감안하면 소설 읽는 내 자신도 꽤 괜찮다 여겼다. 그 생각은 대학을 지나 직장생활을 하는 동안에도 이어졌다. 글을 쓰고 싶었다. 그러자 소설에 치우친 독서의 부작용이 튀어나왔다. 요점 없는 전개, 모호한 단어 사용, 부족한 배경지식, 무엇보다 독해력에 문제가 있었다. 소설은 인물의 감정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전체적인 맥은 잡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독해법은 철학, 인문, 사회, 과학 등 논리적 이해를 요하는 책에서는 통하지 않았다. 결국 작가의 의도를 파악해 내 생각을 풍성한 글로 풀어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래서 나는 '칼럼스터디'를 선택했다. 칼럼은 .. 더보기
[후기] 3/30 여섯번째 칼럼스터디 경향신문 [국제칼럼] 도전받는 미국의 금융 패권(2015.03.29)김광기(경북대 교수 사회학) 칼럼원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90100&artid=201503292040165 [주요사항]- AIIB(Asia Infra Invest Bank) (cf) ADB (Asian Development Bank)- 기축통화 : 전 세계를 대표하는 돈- 세계경제패권 : 중국으로 넘어가는 계기가 될 것 - 한국의 외교 시험대- 역사적으로 평화적 권력이양은 존재하지 않았음 [참고도서]화폐전쟁. 1(2015 한정보급판)저자쑹훙빙 지음출판사알에이치코리아 | 2014-12-28 출간카테고리경제/경영책소개국제금융학자 쑹훙빙의 글로벌 베스트셀러 ‘.. 더보기
칼럼쓰기 5. [경향신문/국제칼럼] 도전받는 미국의 금융 패권 경향신문 [국제칼럼] 도전받는 미국의 금융 패권(2015.03.29) 김광기(경북대 교수 사회학) 칼럼원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90100&artid=201503292040165 국제적인 경제 패권 경쟁에서 미국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아시아 국가는 물론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독일 등 유럽의 서방국가들도 참여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미국의 눈치를 보며 머뭇거리던 우리나라도 엊그제 참여하기로 최종적인 가닥을 잡았다. 아시아에서는 일본만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고 있지만 조만간 참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미국은 그동안 서방 동맹국들의 AIIB 참여를 저지하려 무던히 .. 더보기
칼럼쓰기4. [조선일보/강경희 칼럼] 수술대에 올릴 건 ‘수능 영어’가 아니라 ‘교육부’ 조선일보/오피니언(2015.03.19.) 원문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3/18/2015031804208.html [강경희 칼럼] 수술대에 올릴 건 ‘수능 영어’가 아니라 ‘교육부’ - 동생 업고 피란 간 덕수처럼 ‘21세기 덕수’는 문제집 업고 고달프게 달린다. - ‘일자리 3차 대전’ 勝負(승부)는 우주로 날겠다는 무모한 기업가 정신서 갈린다는데 관객 1400만명을 동원한 영화 ‘국제시장’을 보며 제일 인상 깊었던 순간은 어린 덕수가 여동생 막순이의 손을 잡고 메러디스 빅토리호를 향해 달리는 흥남 철수 장면이었다. 배에 오르다 등에 업은 동생을 놓치고, 동생을 찾아나선 아버지의 빈자리를 메우느라 졸지에 소년 가장이 되는 처절한 삶의 분기.. 더보기
칼럼쓰기3. [중앙일보/노재현 칼럼] '하면 된다' 시대의 종언 [노재현 칼럼] '하면 된다' 시대의 종언(2014.07.23) 칼럼원문 :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5332603&cloc=olink%7Carticle%7Cdefault 며칠 전 재미있는 신문 기사를 보았다. 꾸준히 노력하면 누구든 정상에 오를 수 있다는 '1만 시간의 법칙'이 실은 틀린 이야기라는 것이다. (본지 7월 17일자). 1만 시간 노력하려면 하루 3시간, 일주일 20시간씩 총 10년이 걸린다. 그러나 미국 연구팀이 선천적 재능과 노력을 연구한 결과 많은 분야에서 타고난 재능이 노력보다 훨씬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고 기사는 전한다. 음악에서는 재능 79%, 노력이 21%이고, 스포츠는 재능 82%, 노력 18.. 더보기
[후기] 3/23 다섯번째 칼럼스터디 경향신문 3/18(수) ['예술인간 시대'와 오디션 인간] 최유준 (전남대 교수, 음악평론가)칼럼원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90100&artid=201503182104325 [내가 본 이 칼럼]- 음악 분야에 한정해 예술을 말하고 있다.- 오디션 프로의 순기능 - 진입장벽 낮춤 - 을 간과하고 있다.- 음악평론가 본위의 입장에서만 서술하고 있다. (ex. 진입 문턱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를 가져왔다. ... 작업음악가의 입지 또한 약화되기 때문...)- 예술에 대한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특별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어떤 것) - 단정적인 어투로 주장을 말하고 있지 않다. [주장]- 예술은 제도가 아닌 삶의 기술로 이.. 더보기
[후기] 2/16 첫번째 칼럼스터디 칼럼스터디에 참여했습니다. 작년부터 눈독을 들였던 모임입니다. 배경지식의 부족, 한정된 어휘 사용 등을 극복하고, 문학에 치중한 독서 습관도 바꿔보고자 했습니다. 모임 시작 전부터 선생님께서 다양한 칼럼을 알려주셨고 이를 조금씩 읽었습니다. 2/16 비가오는 월요일에 진행된 첫 번째 모임이었습니다. 비가 오는, 게다가 구정 연휴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월요일 이었습니다. 불참자가 많았지만, 그래서인지(?) 더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신문을 정독하는 습관이 있으셨다는 선생님은 '가성비 최고'라는 신문읽기를 무척 강조하셨습니다. 스터디는 칼럼읽기, 키워드 찾기, 요약하기, 단상적기로 구성되었습니다. 첫 번째 칼럼은 정철근 논설위원의 였습니다. 미국의 사례를 들어 복지 논란에 휩쌓인 대.. 더보기
피의자 범죄의 혐의가 있어서 정식으로 입건되었으나, 아직 공소제기가 되지 아니한 사람 더보기
칼럼쓰기2. [중앙일보/김훈 새해특별기고] 세월호 내버리고 가면 우리는 또 같은 자리서 빠져 죽어 기사원문 :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6832265 [새해 특별 기고] 소설가 김훈 세월호 내버리고 가면 우리는 또 같은 자리서 빠져 죽어... 사실의 힘에 의해 슬픔과 분노, 희망의 동력으로 바뀌기를 나는 본래 어둡고 오활하여, 폐구(閉口)로 겨우 일신을 지탱하고 있다. 더구나 궁벽한 갯가에 엎드린 지 오래니 세상사를 입 벌려 말할 만한 식견이 있을리 없고, 이러한 말조차 아니함만 못하다는 것을 모르지 않는다. 그러하되, 잔잔한 바다에서 큰 배가 갑자기 가라앉아 무죄한 사람들이 떼죽음을 당한 사태가 대체 어찌 된 영문인지 알지 못하고,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의 몸을 차고 어두운 물 밑에 버려둔 채 새해를 맞으려니 슬.. 더보기